명언을 배우게 되면 그 나라의 언어 뿐만 아니라 문화와 사고방식 까지 배울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언어공부란 참 재미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의 독일어 명언, 같이 보실까요? Aller Anfang ist schwer. "Aller Anfang ist schwer." 는 독일어로 "모든 시작은 어렵다" 또는 "처음 시작은 어렵다" 라는 의미입니다.여기서 중요한 단어와 문법 요소를 설명해보겠습니다:1. **Aller (대명사 "alle"의 격자격)**: "Aller"은 "alle" (모든) 의 격자격인데요, 여기에서는 "모든" 을 나타냅니다.2. **Anfang (명사)**: "Anfang"은 "시작" 을 의미합니다.3. **ist (동사 "sein"의 3인칭 단수 현재형)**: "..
Wo sich die Füchse gute Nacht sagen"Wo sich die Füchse gute Nacht sagen"은 독일어로 "여우들이 좋은 밤을 보내는 곳"이라는 뜻입니다.여기서 중요한 단어와 표현을 설명해보겠습니다:Wo (부사): "Wo"는 "어디에서"를 의미합니다.sich (reflexive 대명사): "Sich"는 주어가 자기 자신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반사 대명사입니다.die Füchse (명사, 복수형): "Die Füchse"는 "여우들"을 의미합니다.gute Nacht sagen (표현): "Gute Nacht sagen"은 "안녕히 주무세요" 또는 "좋은 밤 보내세요"와 같이 상대방에게 안녕히 자기를 바랄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이 표현은 주로 외진 곳이나 멀리 떨어진 곳..
Kinder und Betrunkene sagen immer die Wahrheit"Kinder und Betrunkene sagen immer die Wahrheit"은 독일어로 "어린이와 술에 취한 사람은 항상 진실을 말한다"라는 뜻입니다.여기서 중요한 단어와 표현을 설명해보겠습니다:Kinder (명사): "Kinder"는 "어린이들"을 의미합니다.und (접속사): "Und"는 "그리고"를 의미합니다.Betrunkene (명사, 복수형): "Betrunkene"는 "술에 취한 사람들"을 나타냅니다.sagen (동사): "Sagen"은 "말하다"를 의미합니다.immer (부사): "Immer"는 "항상"을 의미합니다.die Wahrheit (명사구): "Die Wahrheit"는 "진실"을 의미합니다..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다.' 오늘은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명언입니다. 약육강식은 동물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적용되는 자연의 섭리인데요, 독일인들은 이 점을 잊지 않고 속담으로 만들어 전해내려오고 있습니다. 독일인들은 자연을 사랑하고 작은 정원을 집 앞 뿐만 아니라, 따로 임대해서 가지고 있는 것이 흔한 일입니다. 가든의 크기나 실제로 심은 작물 또한 환경에 따라 가든관리의 난이도는 바뀔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가든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식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강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런 명언이 전해 내려져 오는 듯 합니다. 'Nur die Harten kommen in den Garten' Nur die Harten kommen in den Garten 노래 신기한게, 이 제목의 노래 까지 있습니다...
모든 일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누구나 어떤 목표를 향해 달려갈 때는 조바심이 나기 마련인데요, 한국인들은 '빨리빨리'를 선호하고 거기에 익숙해진 특성 탓에 더욱 남들과 비교하며 조바심을 내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괜히 스트레스받다 보면 내 목표와 관련된 것이 아닌 엉뚱한 곳에 에너지를 쓰기 마련이고, 까딱하면 지름길처럼 보이는 나쁜 길로 빠져들 수 있습니다.위대한 모든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시간이 거리는 법입니다. 주위에서 어떤 사람이 더 빨리 같은 목표를 성취한다고 해서 주눅 들거나 포기할 필요 없습니다. 어차피 '빨리 익은 열매는, 빨리 썩기 때문'입니다. 독일인들은 예로부터 어떤 일을 할 때 시간을 두고 천천히, 그러나 하기로 한 시간에는 집중해서 하며, 모든 일을 느긋하게 그러나 제대로 완수하..
워라밸의 국가 독일의 비결을 아시나요? 독일 사람들은 업무시간에 오로지 업무에만 집중합니다. 하다못해 점심도 간단하게 자리에서 빵을 먹고 끝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왜냐하면 일을 '시간'기반으로 하지 않고 '업무'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해야 할 '업무'를 잘 끝냈다고 하면, 회사와 약속된 '8시간'을 꼭 자리에서 지켜야 한다는 그런 생각은 드문 일입니다. 그보다는 아이를 하원시키러, 혹은 슈퍼마켓 장 보러, 혹은 카페에서 여유를 즐기러 등의 저마다의 삶을 위한 이유로 조금 일찍 퇴근하고 다른 사람도 그 사람의 '업무'만 제대로 완성돼 있다고 하면 특별히 터치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명언은 'Dienst ist Dienst und Schnaps ist Schnaps', 일은 일이고, 술은 술이..
오늘의 명언은 동기부여에 관련한 명언입니다.'Der Hunger kommt beim Essen'라는 독일어 명언으로, '식욕은 막상 음식을 먹기 시작해야 생긴다' 이런 뜻입니다. 입맛이 없고 힘든날, 이런경험 한번쯤 해보셨을것 같습니다. 음식에 아무런 생각이 없다가도, 막상 맛있는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 입맛이 돌도더 먹고싶은 욕구가 생기는 것을요. 이 명언은 어떤 특정한 일을 할 의지가 별로 없다고 하더라도, 일단 한번 해보면 그 안에서 즐거움과 동기를 찾고 지속할지 모르니 한번 도전해 보는 것이 좋겠다고 권유하는 명언입니다. 해야 하는것 같은 일이지만, 아직 한번도 시도해 보지 않고 미루기만 해둔 일이 있다면 오늘 한번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의 명언 - 독일어"Der Hunger komm..
독일은 말을 정말 많이 탑니다. 베를린이 독일의 수도이고 세계적인 대도시이지만, 차타고 1시간 정도만 외곽으로 나가도 말을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고, 말을 근교 농장에서 애완동물 처럼 키우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전부터도 말을 많이 타고 다녀서 이런 속담이 있는 것이겠지요? 오늘의 독일어 명언은 'Wenn der Reiter nichts taugt, ist das Pferd schuld.' 입니다.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속담입니다. '기수의 실력이 좋지 않으면, 말을 비난한다' 이런 뜻입니다. 자고로 말은 온순하면서 영리한 동물로 친구들이 말을 키우는 것을 보니, 말과 의사소통도 잘되더군요. 너무 신기했습니다. 말은 말만 못할 뿐이지, 어린아이 5세 이상의 지능이 된다고 합니다. 승마에서는 말은 주행..
Wer A sagt, muss auch B sagen. 독일의 알파벳은 영어의 알파벳과 거의 비슷합니다. 영어가 시작할때 A,B,C,D...로 시작하는 것 처럼, 독일어 알파벳도 A,B,C,D...라고 시작합니다. 그래서, 외국인들이 어떤 일의 순서를 나열할 때는 A,B,C,D...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경우에 이 순서는 자연스럽게 '강제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사고의 틀을 기반으로 독일인들이 만든 오늘의 속담은 A라고 말을 시작한 사람은, B도 말하는 것이 당연지사 라는 속담입니다. 지금부터 항목을 나열할게요. A는 이것이고요.. 끝입니다. 라고 이렇게 말을 하는 사람은 없고, 목록을 말한다고 했으면 그다음은 B는 이것이고요, C는 이것입니다 라고 말하는게 자연스럽겠죠? 그래서 이 명언이 내..
Wer zwei Hasen auf einmal jagt bekommt keinen여러 가지 일을 욕심내다가 하나도 제대로 성공하지 못한 경험,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만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여러 일이 욕심내다가, 혹은 동시에 진행하다가 하나도 제대로 얻지 못하고 모든 것을 놓치게 되는 상황을 주의하라는 내용의 명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독일어로는 'Wer zwei Hasen auf einmal jagt bekommt keinen'라고 하며, 한국말로 직역하면 '두마리 토끼를 한 번에 얻으려다가 하나도 못 건진다'입니다. 오늘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조바심 내지 말고 한 가지만 달성해도 가치 있고 성공적인 하루가 될 것입니다. 인생이란 짧은 듯하면서도 또 어떻게 쓰냐에 따라 그렇지는 않아서, ..
Übung macht den Meister마이스터는 독일말로 한국어의 '장인'을 뜻합니다. 장인이 되려먼 어떻게 해야할까요? 훈련/노력/연습을 많이 해야만이 장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독일어 속담은 '연습이 장인을 만든다' 입니다. 어떤 분야에서 '장인'이 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지금 바로 작은 것이라도 시작해보시길 바랍니다. 오늘의 명언 - 독일어"Übung macht den Meister"은 독일어로 "연습은 대가를 낳는다" 또는 "숙련은 노력의 결실이다"라는 뜻입니다.여기서 중요한 단어와 표현을 설명해보겠습니다:Übung (명사): "Übung"은 "연습"을 의미합니다.macht (동사 "machen"의 3인칭 단수 현재형): "Macht"는 "machen" (만들다, 하다) 동사..
Taten sagen mehr als Worte말을 하는 것은 쉽습니다. 하지만 행동으로 실천하거나 보여주는것은 어렵습니다. 이 차이가 결과의 차이를 만듭니다. 독일어에는 이와 같은 명언이 있는데, 'Taten sagen mehr als Worte'라는 속담입니다. 모두 오늘 하루 만큼은 말로 뱉은것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알찬 하루 되시길 바라며, 아래의 독일어/영어 공부하고 가셔요 :) 독일어 명언 "Taten sagen mehr als Worte" 는 독일어로 "행동이 말보다 더 많이 말해준다" 또는 "행동이 중요하다" 라는 뜻입니다.여기서 중요한 단어와 표현을 설명해보겠습니다:Taten (명사): "Taten"은 "행동"을 의미합니다.sagen (동사): "Sagen"은 "말하다"를 의미합니다.m..
오늘의 명언 오늘의 명언은 "Erst denken, dann handeln."라는 독일어 명언입니다. 뜻은, "먼저 생각하고 나서 행동하라"라는 것으로, 생각 없이 섣불리 행동하는 것은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옴을 주의하라는 것입니다. 우리말에는 "생각 없이 행동하면 길을 잃는다"라는 비슷한 속담이 있지만, 그렇게 유명한 속담은 아닙니다. 다만, "Erst denken, dann handeln."은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명언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마음에 새겨야 할 삶의 지혜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어 설명 Erst denken, dann handeln. 직역: "먼저 생각한 다음 행동하십시오." 조치를 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조치를 취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어느 것이 인지 결정하려면..
쉬는 자는 녹슬게 된다. / Wer rastet, der rostet.근면 성실하고 연금받을때까지 꾸준히 일하는 것으로 알려진 독일인들의 입에서 수없이 되뇌어 졌을 만한 명언입니다. "쉬는 자는 녹슬게 된다"는 명언은 꼭 일 적인 측면 뿐 아니라, 평소에도 산책을 사랑하는 독일인들의 삶에도 깃들여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독일에서 제일 유명한 약국인 '샵 아포테케'에서 파는 '건강 서적'의 표지를 가져온 것으로, '쉬기만 하면 녹슬지?' 라는 의미가 담겨 있고, 이 책은 운동이나 육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심리학적 요소도 다룬다고 하니, 얼마나 독일인들이 내,외적 측면으로 부단하게 본인의 삶을 가꿔나가는지 엿볼수 있는 장면입니다. 노인들은 움츠러들거나 쇠퇴하는 대신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상태를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